나도 내장 비만 일까? 내장 지방 자가 진단, 측정 하는 방법

내장 지방이 쌓이면 우리 신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

내장 지방이 쌓이면 즉각적으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당뇨병이나 전당뇨병에 걸린 적이이 없더라도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내장 지방은 또한 혈압을 빠르게 올릴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심장마비와 심장병, 제2형 당뇨병, 뇌졸중, 유방암, 그리고 대장암, 알츠하이머 등의 위험을 증가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체지방이 어느정도 있는 것은 건강에 좋지만 모든 지방이 똑같은 것은 아닙니다.

내장 지방은 복강 내에 저장되는 체지방의 일종 입니다.

간, 위, 장 등 중요한 기관 근처에 있고 동맥에도 축적될 수 있습니다.

체내에서 호르몬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활성 지방이라고도 합니다.

복부에 지방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내장 지방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뱃살은 피부 바로 아래에 저장되는 피하지방일 수도 있습니다.

팔과 다리에서도 발견되는 지방 유형인 피하지방은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내장 지방은 복강 안에 있어서 잘 보이지 않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모든 체지방의 약 10%가 내장 지방이라고 합니다.

총 체지방을 계산하여 10%를 취하면 내장 지방의 양을 추절할 수 있습니다.

 

내장 지방의 위험 수위를 결정하는 쉬운 방법은 허리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하버드 대학원 발표에 의하면 여성의 허리가 35인치 이상이면 내장 지방으로 인한 건강 문제의 위험이 있습니다.

남성은 40인치 이상이면 위험합니다.

 

내장 지방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 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은 MRI 스캔을 받는 것 입니다.

그렇지만 MRI 스캔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 뿐더라 단순히 내장 지방을 체크하기 위해서 MRI 를 하지는 않습니다.

 

허리 사이즈만 가지고 내장 지방을  정확히 측정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굳이 병원에 가지 않고 의사에게 물어보지 않고 내장 지방 체크하는 자가 진단 방법이 있습니다.

♠내장 지방 자가 진단 하는 3가지 방법

1.허리 대 엉덩이 비율-WHR

내장 비만 스스로 체크 하는 방법

이 허리 대 엉덩이 비율 방법은 과체중인지 아닌지,

초과 체중이 건강을 위험에 빠뜨리는지 아닌지 확인 하기 위해서 의사들이 사용하는 여러 측정값 중의 하나 입니다.

이 방법은 허리 둘레와 엉덩이 둘레의 비율을 측정함으로써 허리와 엉덩이에 얼마나 많은 지방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결정합니다.

모든 신체 부위의 초과 체중이 동일하게 취급되는 것은 아닙니다.

중앙부에 체중이 몰려 있는 사과타입의 신체를 가진 사람은 엉덩이와 허벅지에 지방이 몰려있는 표주박 모양의 신체를 지닌 사람들 보다 심장병, 제2형 당뇨병 및 조기 사망의 위험이 더 높습니다.

◈ WHR 측정 방법 ; 허리 둘레 / 엉덩이 둘레

허리의 가장 작은 부분을 찾아 측정 합니다.

일반적으로 배꼽 바로 위에 있습니다.

엉덩이는 엉덩이의 가장 넓은 부분을 찾아 측정합니다.

그리고 허리 둘레를 엉덩이 둘레로 나눕니다.

 

세계 보건기구 WHO 의 보고서에 따르면 [허리 대 엉덩이 비율]이 여성의 경우 0.85 이하, 남성의 경우 0.9이하 이면 정상입니다.

남성 여성 모두 WHR 이 1.0 이상이면 심장질화 ㄴ및 과체중 관견된 기타 질병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이  WHR 방법은 쉽게 측정이 가능하고 심장병과 당뇨병의 위험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점이 있습니다.

정확한 엉덩이 측정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단순히 엉덩이 근육 운동을 많이 해서 엉덩이 사이즈가 커졌을 수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될 수는 없습니다.

 

또한 키가 152CM 이하인 사람에게는 사용할 수 없고, 어린이에게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2. 허리 대 신장(키) 비율-WHtR

내장 비만 자가 진단 방법

연구원들은 제1형 당뇨병 환자가 허리와 키 비율이 높으면 내장 지방의 비율도 높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참고자료: 제1형 당뇨병과 WHTR과의 관계

 

허리와 키 비율을 알아내는 방법은 허리 둘레를 키로 나누면 됩니다.

이상적인 허리 대 키 비율은 0.5 이하 입니다.

◈ WHtR 측정 방법 ; 허리 둘레 / 신장(키)

3. 체질량 지수-BMI

체질량 지수 자가진단

키와 체중을 기준으로 체지방을 직접 측정하지 않고 방정식을 사용하여 근사치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체질량 지수 방법은 건강한 체중인지 과체중인지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체질량 지수가 높으면 몸에 지방이 너무 많다는 것이고 지수가 낮으면 지방이 너무 적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체질량 지수가 높을수록 심장병, 고혈압 및 당뇨병과 같은 심각한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반대로 체질량 지수가 너무 낮으면 뼈 손실, 면역 기능 감소 그리고 빈혈 등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체질량 지수 계산법은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동일한 방법으로 계산이 됩니다.

그러나 결과치에 대한 해석은 성인과 어린이에 대해 다르게 해석합니다.

◈ 성인 기준 BMI

체질량 지수

내장 지방 상태

단점은 지방 때문에 과체중인지 근육으로 인한 체중인지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하다고는 할수 없습니다.

운동선수 특히 보디 빌더나 역도 선수, 노년층, 신체 장애가 있는 사람, 섭식 장애가 있는 사람, 18세 미만 등인 사람에게는 정확하게 측정되지 않습니다.

체질량 지수 계산법은 단순히 나누기 곱하기 수준이 아니라서 미국 보건국  CDC 나 NIH 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측정 사이트가 있습니다.

★체질량 지수 측정 사이트 바로가기

★체질량 지수와 허리 둘레 콤바인 해서 진단해보기

◈ 내장 지방 자가진단 방법 요약

내장 비만 자가 진단 방법

위의 3가지 방법 중에서 허리둘레를 측정하는 WHR 방법이 가장 정확하고 중요하다고 합니다.

엉덩이와 허벅지에 추중이 실리는 경우보다 복부에 과도한 체지방이 잇으면 건강에 더 위험하기 때문입니다.

 

MRI 스캔 하는 것처럼 정확하지는 않지만  복부 비만, 내장 비만 걱정이 되시는 분들은 가볍게 해볼만 합니다.

내장 지방 자가 진단 방법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따끈 따끈한 오늘의 [건강 정보], [핫 딜] 절대로 놓치지 마세요 !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